5.18은 완전무오한 민주화 운동인가? II

5.18 정신은 도대체 무엇인가? 김대중 구명에 앞장 선 뉴욕타임즈 기자, Henry Scott Stokes의 이야기 진실에 기반한 진정한 화해와 상생을 소망하며

5.18은 완전무오한 민주화 운동인가? II - 5.18 정신은 도대체 무엇인가? 2년 전 게시한 트루스포럼의 5.18 대자보를 다시 부착하며 5.18 정신이 무엇인지 묻는다. 5.18은 완전무오한 민주화 운동인가? 5.18이 민주화 운동이라는 관점을 강제하고 겁박하는 것이 5.18 정신인가? 이것이 민주적인가? 5.18 정신에 반하는 것은 아닌가? 관점을 강제하고 겁박하는 것이 바로 검열이고 독재다. 유공자 공개는 안하는 것인가? 못하는 것인가? 자랑스러운 민주화 운동이라면 떳떳하게 공개하지 못할 이유가 도대체 무엇인가? 5.18은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가장 복잡한 주제다. 북한의 직접 개입 또는 사주에 의한 무장폭동이라는 평가와, 민주화를 갈망한 민중의 순수한 무장봉기라는 평가가 지나간 30년을 대립해 왔고, 그 안에도 다양한 스펙트럼의 주장과 추측, 과장과 선동이 뒤섞여 있다. 81년과 97년엔 서로 상반된 내용의 대법원의 판결이 있었다. 88년 국회 청문회, 95년 검찰수사, 2007년 국방부 과거사 진상규명위 조사와 2020년 5.18조사위 출범이 있었지만 5.18에 대한 통합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5.18은 순수한

[칼럼] 국내 최초의 보수주의 컨퍼런스 ‘보수주의 2020’ 후기

청년 보수주의 운동의 시작 기독교 보수주의(영미식 보수주의)의 기치를 내세운 트루스포럼 2020년 제1회 보수주의 컨퍼런스를 돌아보며 다가올 12월 28일에 열리는 2024년 보수주의 컨퍼런스를 기대

제1회 보수주의 컨퍼런스 ‘보수주의 2020’ 컨퍼런스가 2020년 8월 14일 서울 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무궁화홀에서 개최됐다. 먼저 컨퍼런스의 시작을 알리는 것은 멀리서도 이목을 집중시키는 포스터였다. 특별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문구가 인상적이었다. 포스터 상단의 문구를 보니 몇 년 전 ‘트루스포럼’이라는 단체가 생기고 이 포럼을 통한 목소리가 대학을 넘어 사회에 경종을 울렸던 것이 생각났다. 다시 보니 컨퍼런스 포스터는 마치 이렇게 말하는 듯했다. ‘보수주의가 시작됩니다. 진리 안에서.’ 기독교 보수주의 청년단체 트루스포럼 갈수록 우리 사회에서 기독교가 위협받고, 보수주의 운동은 이제 막 묵은 땅을 갈아엎고 있다 보니, 무려 ‘기독교 보수주의’(Christian Conservatism, 또는 영미식 보수주의)를 정면으로 내건 ‘트루스포럼’의 행보에는 늘 장애물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참고로 2019년 서울대 캠퍼스 안에서 벌어진 트루스포럼 대자보 훼손 사건만 해도 물의를 일으킨 뒤 도망한 학생을 따라 가보니 해당 학생이 서울대 총학생회 소속이었던 해프닝도 있었다. 조국 교수의 선동 정치 또한 SNS를 무대 삼아 소위 ‘지식인의 정

[교육칼럼]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필요한 솔로몬의 지혜

미래 세대 교육의 방향을 결정할 서울시교육감 선거 얼마 남지 않은 10월 16일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에서 미래 세대를 위해 교육에서 경쟁을 없애자는 진영과 미래 세대를 위해 경쟁을 부활시키자는 진영의 대결이 진행중입니다. 두 후보자가 속한 진영 중 누가 진정 다음 세대를 위하는 것일까요? 과연 어떤 사랑이 진짜 사랑일까요? 혁신과 번영의 기초인 경쟁이 사라질 때 야만이 들어설 것 “너 자신을 억압적인 기독교의 성도덕으로부터 해방시켜라. 너의 성적 충동을 만족시켜라. 그래서 모든 지배로부터 자유로운 사회라는 낙원을 창조하라”는 구호를 앞세웠던 '68혁명'을 노래하는 신좌파의 주장대로 정말 경쟁 교육은 야만일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아닙니다. 경쟁이 없어진 교실엔 결국 경쟁력이 사라지지요. 우리의 다음 세대로 하여금 글로벌 무한경쟁으로 세팅된 세상을 마주하지 않도록 가르친다면, 경쟁이 사라진 교실엔 어느새 야만이 들어서게 될 것이 자명합니다. 경쟁 교육이 야만이 아니라 경쟁 교육을 몰아낸 교실이 오히려 야만을 낳게 됩니다. 진정 다음 세대에게 필요한 것은 건강한 경쟁과 출중한 실력입니다. 인류 역사상 그 어느 폭군도 막지 못한 시장경제만 봐도 그러합니다. 경쟁이

[교육칼럼] '교회 안의 니체'에 대해 우려하시는 학부모님께

*본 칼럼은 사상가 니체에 대한 어느 기독 학부모님의 우려 섞인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작성했던 온라인 편지에 해당합니다. 구체적으로, 부활절을 맞아 교회에서 K-pop 음악(‘아모르파티’ 등)으로 칸타타 형식의 예배를 인도하며 성도들에게 니체의 기독교 신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 및 소개한 음악 전공 지휘자에 대한 우려가 주된 발단이었습니다. 편지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칼럼으로 실었습니다.

'교회 안의 니체'에 대해 우려하시는 학부모님께 안녕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니체는 적그리스도적 사상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따라서 니체의 사상과 그의 생각이 담긴 음악을 교회로 가져와서 선하다고 말하는 것은 하나님 앞에 중대한 죄라고 생각합니다. 인문학 공부를 위해 니체를 읽는 것과 니체의 열매를 선한 것으로 포장해서 부활절 성전 안으로 가져오는 일은 엄연히 다른 일인 것이지요. 신앙고백이나 신학적 관점을 충분히 들어봐야 알겠지만, 해당 사역자 분이 도가 지나친 소위 좌파 기독교인이거나 자유주의 신학에 물들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집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선구자 니체의 ‘초인사상’ 니체는 포스트모던 사상의 아버지라고 여겨집니다. 그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통해 밝힌 초인 사상은 성경이 말하는 "그리스도의 피로 구원 받은 죄인(칭의를 통한 의인됨)"과 정반대 편에 서 있습니다.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 초인(위버멘쉬)이 될 수 있다는 말은 인간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수 있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분명히 인간은 자기 자신을 구원할 능력이 없다고 가르칩니다. 니체는 인간을 "스스로 넘어가는 존재"라고 주장 하지만, 기독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