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 논객의 일갈, '이념의 시대가 갔다고? 천만의 말씀'

탈이념은 좌익의 통일전선 수법 이념은 한 나라의 정체성, 탈이념은 정체성을 폐기하자는 것 태영호 의원을 빨갱이로 매도하는 것이 색깔론을 비난하는 민주당의 민낯

이념의 시대가 갔다고? 천만의 말씀. 좌파 논객의 일갈이다. 2008년 2월 25일, 이명박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이념의 시대는 갔다고 선언했다. 후보시절 토론에서도 그랬고 취임후 3.1절 기념사에서도 이념의 시대는 끝났다고 말했다. 그리고 실용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좌파 논객 조원종씨는 이명박 후보의 당선이 확정된 뒤, '이념의 시대는 갔다고? 천만의 말씀'이라는 제목의 글을 프레시안에 기고했다. 이념전쟁은 결코 끝나지 않는다는 경고였다. 이대통령은 그 해 5월부터 좌익세력이 앞장 선 미국산 수입 소고기 파동과 광우병 논란으로 임기 말까지 곤혹을 치렀다. 박근혜 대통령도 '이념보다 정책이 중요하다'고 했다. 대통합과 대탕평을 천명했다. 하지만 좌파 세력은 세월호 사건을 이용해 대대적인 공세를 전개했고, 박대통령은 결국 탄핵까지 당했다. 이념이란 생각을 말한다. 하나의 국가와 사회가 기반으로 하는 '생각의 틀'이 바로 이념이다. 이는 바로 한 나라의 정체성이다. '탈이념' 하자는 말은 결국 국가정체성을 갖다 버리자는 말이다. 좌파는 자신들의 이념을 민주, 민족, 평화, 통일, 환경, 인권, 민생 같은 아름다운 명제 뒤에 가려버린다. '탈이념'도 좌익의 수법이

홍범도 장군을 미화하는 기독교 좌파의 문제점

일본에 저항한 모든 독립운동, 항일운동이 정당화 될 수는 없어 독립운동을 평가하는 작업엔 추구한 사상과 방향이 옳은 것이었는지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있어야 설령 독립운동의 순수한 열망으로 소련을 택했어도 코민테른의 통일전선전술에 이용당한 것 공산주의는 일제보다 심각한 해악. 마르크스 레닌주의는 인류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을 학살 남북한 양비론이 위험한 것은 대한민국이라는 기적과 축복을 지독하게 폄하하기 때문

홍범도 장군을 미화하는 기독교 좌파의 문제점 1. 민족을 언급하면서 감상적인 접근으로 홍범도 장군을 미화하는 글들이 있다. 본질을 흐리는 위험한 모습들이 보이는데, 안타까운 건 일부 기독교 사역자들이 그런 흐름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고 있다는 점이다. 교회가 더 이상 여기에 침묵해선 안된다. 2. 한 목사님은, 홍범도 장군은 민족의 독립이라는 시대적 공익을 위해 사익을 버리고 철저히 헌신한 사람이고, 공익을 위해 철저히 헌신한 점에서 모세와 예수의 모습과도 비슷하니, 평생 사익에 쩔어사는 주제의 사람들은 입을 닫으라는 투다. 이것을 이번 주 설교말씀으로 준비하셨다고 한다. https://www.facebook.com/jungsik.cha/posts/pfbid02c1s8dp4tzE8FfHfBtT82uyXzvpZMizqTWuvkVnQJjvuwcChV779XPWVuLeHXuAiyl 3. 선교단체 대표를 맡고 있는 어떤 분은 홍범도 장군을 지금의 잣대로 재단해선 안된다고 한다. 역사 해석은 그 상황 속에서 의미를 찾아야 한다면서 홍범도 장군을 옹호한다. 3.1운동 이후 미국은 독립운동의 대안이 되지 못했고, 일본과 싸우기 위해서는 중국공산당, 소련공산당과 협력할 수밖에

[칼럼] 1919 필라델피아 “자유민주주의 통일의 광장에서 노래하자!”

다큐멘터리 음악극 <1919 필라델피아> 관람기 자유의 산실, 미국의 ‘필라델피아’ 7월 공연은 시민과 함께하는 ‘제헌절 헌법축제’로 열려 <1919 필라델피아> 운동은 다가올 통일헌법 제정 곧 국가 재건 프로젝트로의 초대 거룩한 씨앗 필라델피아와 자유의 미래, 그리고 우리의 역할

3차 앙코르 공연 성료한 다큐멘터리 음악극 <1919 필라델피아> 지난 7월 15일부터 31일까지 용산아트홀에서 열린 <1919 필라델피아> 3차 공연이 뒷심을 발휘하여 연일 전석 매진으로 성료했다. 본 공연은 1919년 4월 14일에서 16일까지 미국의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제1차 한인자유대회(First Korean Congress)를 소재로 만든 다큐멘터리 음악극이다. 필자는 지난 2차 공연을 다음 세대 청소년들과 단체 관람한 데 이어 이번 3차 공연은 좋은 기회를 통해 초대석에서 관람하는 과분한 특권을 누렸다. 3차 공연 무엇이 달라졌나 지난 2차 공연에 비해 이번 3차 공연에서 나타난 가장 큰 변화는 단연 서재필 역(이지형)과 이승만 역(박종원)의 교체에 있었다. 필자를 포함한 다수의 관객은 해당 작품이 두 배역의 변화로 인해 완전히 새것이 되었다는 평을 나누기도 했다. 서재필과 이승만 박사를 포함한 모든 출연진은 각자의 배역을 안정감 있게 소화했으며, 맡은 배역에 따라 극 중에 실제 눈시울이 붉어지는 장면도 눈에 띄었다. 그리고 서재필 박사의 차녀로 등장하는 뮤리엘과 한인자유대회를 널리 홍보하고 진행을 도우며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인터뷰 칼럼] 홀리원코리아 <민주시민교육 길잡이> 발간

"통일한국의 민주주의를 바라보다"

1. 통일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한 반격은 이제부터 Time to Fight Back 민주와 평화의 이름으로 대한민국 국민과 북한 주민의 생명권을 북한의 김씨 일가 및 그 추종세력 보다 후순위에 두었던 악몽 같던 이전 행정부가 지나갔다. 그리고 그 행정부의 이념 및 정신을 유지, 계승, 발전시켜 이 나라를 지상 지옥으로 만들진 않을까하는 불안함을 선사하던 후보자를 제치고 기적적인 정권교체가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리의 기쁨에 마냥 취해 있을 수가 없다. 그렇다면 보다 차가운 이성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 대한민국 헌법이 제시하고 있는 국가 공동체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이 자유민주 공화정 및 평화통일임을 감안할 때, 우리는 이제 무너진 법치와 시장의 질서를 회복하고 각종 악법을 막아서는 성숙한 도덕의 개혁을 통해 선진 대한민국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런면에서 주어진 정권교체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는 바로 통일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한 자유민주주의자 또는 보수주의자의 ‘반격의 신호’일 것이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단순히 정권교체에 만족하지 않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참된 민주주의 교육에 힘써야 한다. 그런데 이보다 완벽한 역사의 퍼즐이 있을까? 앞서 언급한 윤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