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전쟁은 국제질서의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한반도는 그러한 변화에 밀접한 영향을 받는 곳입니다. 우리를 둘러 싼 국제정세도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고, 사실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20일, 트루스포럼은 서울대학교기독교총동문회와 함께 <우크라이나 전쟁과 한국의 선택 및 크리스천의 자세>라는 제목의 특별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에 이어 조선일보 모스크바 특파원, 문화일보 논설위원을 역임하신 황성준 위원을 모시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보다 자세히 돌아보면서, 이 전쟁이 야기하는 세계사적 파장과 대한민국의 대응방안을 깊이 있게 검토해 보려 합니다.
강사인 황성준 위원께서는 PD계열 운동권에 투신해 적극적인 공산주의 활동에 가담한 이력이 있습니다. 미국과 소련이 붙었던 88올림픽 농구 준결승에서 소련을 조직적으로 응원해 주목을 끌었고, 이를 계기로 소련으로 유학을 하게 되었다가 소련의 붕괴를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면서 오랜 사색과 방황 끝에 전향한 분입니다. 그리고 현재는 기독교 세계관에 바탕을 둔 보수주의를 설명하고 전파하는데 앞장서고 계십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제78회 트루스포럼 안내
주제 : 우크라이나 전쟁, 어디로 가나? - 세계사적 파장과 대한민국의 대응방안
강사 : 황성준, 前 조선일보 모스크파 특파원, 前 문화일보 논설위원
일시 : 2023년 5월 29일, 오후5시
장소 : 서울대학교 우석경제관 223동 107호
*참석인원 확인을 위해 아래 링크로 사전등록을 부탁드립니다.
* 서울대입구역에서 우석경제관 오시는 길
- 서울대입구역 3번 출구
- 5511(국제대학원방향) 승차
- 수의대 입구, 보건대학원 앞 하차
------------
우크라이나 전쟁, 어디로 가나?
- 세계사적 파장과 대한민국의 대응방안
황성준
K-Con 위원
Ⅰ. 이해를 돕기 위한 몇 가지 배경 지식들
1.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1) 동슬라브족, 키예프 공국에서 시작
cf. 바랴그
2) 13c. 몽골 칩입으로 분열
우크라이나: 몽골이 직접 통치했던 지역
러시아 : 몽골이 간접 통치
벨라루스 : 친서방 반(半)몽골 지역
cf. 백러시아 미녀
3) 우크라이나
- 슬라브어로 ‘우’라는 장소를 나타내는 전치사와 ‘크라야’라는 ‘변방’을 뜻하는 명사가 합쳐져 만들어진 단어. 직역하면 ‘변방에’란 뜻으로, ‘변방국가’란 의미.
- 러시아인은 우크라이나인을 경멸할 때, ‘호홀(강세가 뒤에 있음으로 인해 발음은 ‘하홀’에 가깝다)’이라고 부른다. 이는 ‘변발’이란 의미.
2. Revisionist Power(현상변경 세력)
1) ‘투키디데스의 함정’이란?
2) 1938년 9월30일 뮌헨협정 교훈과 ‘appeasement policy’
주데텐란트를 독일에게 할양했으나...
Ⅱ. ‘벨라베즈 협약(Belavezh Accords)’ 체제
1. 소연방의 해체
-1991년 12월8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3국 대표는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 인근에 위치한 벨라베즈에 모여 소연방 해체에 대해 합의
합의의 기본 골자는 ‘구소련 연방을 구성하던 15개 국가들의 주권(sovereignty)과 영토적 통합성(territorial integrity)을 보장한다’는 것.
- 같은 달 21일 조지아를 제외한 구소련국가들이 카자흐스탄의 알마티에 보여 ‘벨라베즈 협약’을 승인하는 ‘알마티 프로토콜’에 서명. 이로서 소연방이 해체되고 ‘1991년 유라시아 체제’ 혹은 ‘벨라베즈 협약 체제’가 등장.
2. 부다페스트 양해각서
:1994년 1월 미국, 러시아, 우크라이나 3국 대통령이 ‘부다페스트 양해각서’에 서명. 우크라이나 핵무기 포기.
3. 러시아, 벨라베즈 체제를 부정하기 시작.
1) 러시아인들에게 ‘벨라베즈 협약’은 치욕의 상징이기도
독일인들이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베르사유 체제’를 굴욕으로 간주했던 것과 유사.
2) 21c.에 들어와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고 ‘근육’을 회복하기 위한 거리사가 벨라베즈 체제에 도전하기 시작.
3) 2008년 조지아 전쟁
4) 2014년 3월 크림반도 병합
cf. 크림반도 영유권 문제
: 1789년 러시아가 크림반도 장악
1944년 크림 타타르인 20만,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1954년 우크라이나에 편입시킴
1956년 이후 러시아인이 크림반도 다수파가 되기 시작.
2014년, 크림반도 거주 러시아인 중 현지 태생은 1/3 이하
Ⅲ.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
1. 2022년 2월 24일 5시 50분 경, 러시아의 포병대와 미사일부대가 전면적인 포격을 시작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러시아의 전쟁 목적
: 친러 우크라이나 정부를 수립하는 것. 이른바 ‘특수군사작전’
cf. 전쟁 원인에 대하여
1) NATO 확장설
2) 돈바스전의 확대설
2. 이른바 ‘게라시모프 독트린’과 하이브리드전(戰)
2008년 조지아 전쟁에서 효과를 보임.
그러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에서는 취약성을...
러시아의 ‘제병협동(Combined Arms)’ 능력이 형편없음을 보여줌.
재블린의 위력?
3. 바흐무트 전투
일단 러시아군이 바흐무트 중심부를 장악한 것으로 보임.
그러나, 서진보다는 방어 작전에 돌입.
우크라이나군도 드니프로강 도강 작전을 펼칠 수 있지는 미지수.
4. 출구전략(exit strategy)
1) 블라디미르 푸틴, ‘특수군사작전’ 완료 선언.
러시아군의 현 점령지역을 인정받는 선에서 ‘승리’로 규정하고 전쟁을 일단 종결시키는 방향으로...
2) 최근 중국이 중재자를 자처하며, 러시아의 ‘출구전략’을 주선하고 있는 상황.
지난 17일 리후이 중국 유라시아 사무특별대표와 트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만남.
‘NATO 확장 중단’ vs. ‘빼앗긴 영토 반드시 수복’
3) 젤린스키 대통령, 우크라이나의 일부 영토를 포기하는 조건에서의 종전 혹은 휴전은 정치적으로 큰 부담.
4)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대해 이중적 입장.
손해 볼 것이 없다고 여기면서도,
다른 서방국가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또 중국의 이이제이(以夷制夷)에 놀아날 가능성 우려.
Ⅳ. 대한민국의 입장
1. ‘힘에 의한 현상변경’에 반대해야 한다.
현재 가장 강력한 Revisionist Power는 중국이란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cf. 중국, 블라디보스톡항 이용권 획득
2. 기본적으로 ‘한미동맹’, 더 나아가 ‘한미일 연대’를 기본으로 삼을 수밖에 없다.
3. 물론 현실적 고려도 필요.
특히, 장기적으론 중·러를 분리시키는 전략을 고려해야...
4. 우크라이나 복귀 사업에 참여해야 하고, 이를 위한 국제정치적 기반을 조성해야... 7500∽1조 달러 재건사업 예상. 폴란드가 주요 통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도 고려해야...
보론) 대만 전쟁 4가지 시나리오
1) 둥사군도 침공
2) D-day style 전면 침공
3) 해상·공중 봉쇄
4) 미사일·항공 공격